지난달 경기 파주시에 있는 ‘반구정’에 가게 되었다.
황희 정승이 87세에 관직에서 물러나 돌아가시기 전까지 3년 동안 갈매기를 벗하며 여생을 보내셨다는
유적지다.
그곳 기념관에는 황 정승의 유명한 이야기가 소개돼 있었는데 그중에서도 김종서 장군과 관련된 일화가
커다란 울 림으로 다가왔다.
김 장군은 일찍부터 용맹을 떨친 호랑이 같은 장수여서 아무래도 좀 겸손함이 부족했는지 중신회의에서
삐딱하게 앉아 있었던 모양이다.
눈에 거슬리지만 누구 하나 아무 말을 못하고 있는데 황 정승이 아랫사람을 불러서 일렀다.
“장군께서 앉아 계신 모습이 삐딱한 걸 보니 의자가 삐뚤어진 모양이다. 빨리 가서 반듯하게 고쳐 오너라.”
장군이 깜짝 놀라 자세를 고쳐 앉았음은 물론이다.
그런 식으로 가끔 장군의 잘못을 따끔하게 지적하자 한 중신이 유독 장군에게 더 엄격한 이유를 물었다고 한다.
“장군은 앞으로 나라의 큰일을 맡아서 하실 분이기 때문이오. 혹시라도 장군의 훌륭한 능력을 작은 결점 때문에
그르칠까 염려되어서 그러오.”
황 정승은 이미 어디로 갈 것인지를 생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결국 자신은 늙어 물러갈 것이고 다음 세대가 뒤를 이어갈 것이기에 미래를 내다본 것.
마치 지금의 자리가 영원하기라도 한 것처럼 어디로 갈 것인가는 모르고 어디서 온 것만 내세우면 미래가 없다.
우리도 때때로 자문해야 한다. ‘어디로 갈 것인가’라고.
- 윤세영 / 수필가
'東西古今'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손에게 전하는 선물 (0) | 2018.11.29 |
---|---|
나는 침묵하지 않는다 (0) | 2018.11.28 |
엄마곰과 아기곰 (0) | 2018.11.26 |
헌신과 노력 (0) | 2018.11.25 |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0) | 2018.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