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04/16 17:02:34
하버드 대학교의 로렌스 콜버그(Lawrence Kohlberg)라는 심리학자는 '아이들의 도덕적 성장과 의식작용'연구에 일생을 바친 결과, 태어나서 7살까지 아이들은 '도덕이전의 상태'라고 결론지었다. 즉 태어나서 일곱 살까지의 아이들에게 나쁘다는 이름을 갖다 붙이는 것은 모욕적이며 그 들의 자존심에 손상이 간다는 것이다.
아이들을 '나쁘다'고 얘기하는 것, 아이의 신체 부위를 때리는 것과 그 들이 나쁘다는 이유로 벌을 주는 것은 아이들에게 수치심을 유발시킨다. 수치심을 갖는 사람들은 자신이 인간으로서 결함이 있다고 여긴다. 사람들을 비도덕적으로 만드는 것이 있다면 그것이 바로 수치심이다. 부모로부터 자신에 대해 수치스럽게 느끼도록 하는 말을 듣고 자란 아이는 부모의 목소리를 자신의 내부에 투사시킨다. 이 말은 원래 부모가 아이에게 던졌던 '수치심을 심어 주는 대화'를 아이가 자신의 내부에서 계속해서 듣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이는 부모가 자신을 돌보았던 방식으로 자신을 돌보게 된다. 우리가 어렸을 때 성장에 꼭 필요한 욕구(사랑받음, 쓰다듬고 어루만짐, 보살핌)가 얼마나 거부, 억압되었는가? 가족체계 속의 나의 역할은 무엇이었나? 어릿광대나 마스코트로서 가족들의 긴장을 해소시키고 화합하는 역할이었는가, 아니면 영웅처럼 온 가족의 자존심을 세워 주기 위한 것이었나? 부모의 원만치 못한 부부관계의 대체물인 부모의 대리 배우자의 역할이었는가, 아니면 누구의 관심도 끌지 못했던 잊혀진 아이였나? 가족의 희생양? 아니면 문제아로서 결국 온 가족이 나 때문에(내 뒤치닥거리하느라고) 하나로 뭉치게 되었는가? 이 역할은 나 스스로가 원했던 것이 아니고, 나의 가족체계가 이 역할을 하도록 나에게 배정해 준 것이다.
과연 나는 그 역할에 얼마나 순종적이었나? 나는 얼마만큼이나 진정한 '나' 자신을 포기하고 가족이 원하는 역할에 나를 맞췄는가? 결론적으로, 나는 나 자신에 대해 어떤 부정적인 이야기와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가? 그리고 나에 대한 이 모든 부정적 영향들에 대해 No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가? 또한 나는 나 자신에 대해 어떤 긍정적인 멧세지와 이미지와 기억들을 가지고 있는가? 나는 또한 무엇에 대해서, 혹은 누구에 대해서, 과연 얼마만큼 의존적인가? 아니면 얼마만큼 독립적이며, 홀로 서 있는가? 부모가 강압적이고 권위적일수록 그런 가족내에는 절대로 말해서는 안 되는 비밀들과 규칙들이 많다. 이러한 것들이 정체성(Identity)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서 의존적인 사람이 되게 한다.
자신의 독특성을 포기한 채 가족체계가 원하는 역할을 감당했으면 그만큼 그 사람은 의존적이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어렸을 때 부모나 다른 사람들로부터 육체적, 신체적 체벌이나, 성적 차별과 학대, 혹은 정신적, 감정적 학대를 경험하였거나 위와 같은 학대를 직접 목격한 경우에는 그 만큼 의존적인 사람이 된다는 말이다. 학대를 당한 피해자는 학대를 가한 사람에게 복종적이며 의존적이 된다. 학대가 심하면 심할수록 더욱 의존적이 된다.
만일 어머니가 아버지한테 매 맞는 것을 보고자란 딸이라면, 성장하면서 아버지보다 더욱 무서운 폭력자에게 더욱 순종적이고 의존적이 될 것이다. 또 아들이라면 다른 여자를 순종적으로 만들기 위해 자신이 아버지보다도 더욱 폭력적이 되려고 할 것이다. 안타까운 사실은 피해자는 종종 후에 가해자가 된다. 성폭력 가해자의 80%가 과거에 자신 스스로가 그 피해자였다는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정신적이고 정서적인 학대를 가하는 자는 거의 틀림없이 자신 스스로가 한때 심각한 피해자였다.
나의 가족이 과연 얼마나 기능적인지, 역기능 가족이었는가를 진단해보려면,
첫째, 나의 부모가 나를 임신하고 출생하여 생후 약 7세까지 얼마만큼 나를 위해 준비되었으며, 특히 나의 어머니의 눈(In Mother's Eye)을 통해 나는 어떤 어머니의 감정상태를 경험하였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그 당시 나의 부모의 부부사이가 어떤 관계였는가도 중요하다. 부모의 부부사이가 나쁘면 나쁠수록 나에게 끼친 영향은 역기능적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부모가 강압적이고, 완고하며, 권위주의적일수록, 나의 가족은 역기능적이라 할 수 있다.
넷째, 부모에게 그리고 외부적인 것들에 의존적이면 의존적일수록 자기 내면의 욕구대로가 아닌 거짓된 자아(역할, Mask), 즉 상처 입은 내면아이(Inner Child)를 품은 채로 성장한 성인아이(Adult Child)가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사실 우리는 나 자신이 얼마나 외로우며, 상처받고 있고, 화나 있고, 슬픈 지를 미처 인식하지 못하고 살아가고 있다. 결론적으로 모든 문제는 자기 혼자만의 개별적인 것이 아니며 가족전체가 그 문제의 원인이다.
**오제은/천안대학교 교수**
'내 일생의 치유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상처를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0) | 2007.07.18 |
---|---|
[스크랩] 치유와 영성 (0) | 2007.07.18 |
[스크랩] 외로움의 치유자 (0) | 2007.07.18 |
[스크랩] 가족의 역기능과 상담 (0) | 2007.07.18 |
[스크랩] 우리들의 슬픈 자화상 (0) | 2007.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