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총과 성사들
하느님의 자녀가 된다는 것은 성령을 통하여 그리스도께서 영혼들 안에
생생하게 현존하심으로써 하느님의 말씀이신 그분의 모상(likeness)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모상이야말로 하느님의 눈에 '의(義)가 되는 것'
이고 참사랑과 다른 모든 덕의 뿌리요 영원한 생명의 씨앗이다.
그것은 거룩한 유산으로 우리가 허락하지 않는 이상 그 어떤 것도 우리
에게서 빼앗을 수 없다. 그것은 결코 소진되지 않는 보물이며 '영원히 솟
아나는' 살아 있는 샘물이다.
사도 베드로의 첫째 편지 서두는 하느님 자비로 우리에게 무상으로 주어
진 생명의 은총에 대한 기쁨에 찬 찬가로 시작하고 있다.
이 은총은 우리가 죄중에 죽어 있을 때에 주어진 것으로 하느님 사랑에
충실하기만 하다면, 그리스도를 부활케 하신 바로 그 힘으로 우리를 죽음
에서 일으켜 구원으로 이끌 것이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하느님께서 찬미받으시기를 빕니다.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크신 자비로 우리를 새로 태어나게 하시어, 죽은 이
들 가운데에서 다시 살아나신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로우리에게 생생한
희망을 주셨고, 또한 썩지 않고 더러워지지 않고 시들지 않는 상속 재산을
얻게 하셨습니다. 이 상속 재산은 여러분을 위하여 하늘에 보존되어 있습
니다. 여러분은 마지막 때에 나타날 준비가 되어 있는 구원을 얻도록,
여러분의 믿음을 통하여 하느님의힘으로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그러니 즐
거워하십시오. 여러분이 지금 얼마 동안은 갖가지 시련을 겪으며 슬퍼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불로 단련을 받고도 결국 없어지고 마는
금보다훨씬 값진 여러분의 믿음의 순수성이 예수 그리스도께서 나타나실
때에 밝혀져, 여러분이 찬양과영광과 영예를 얻게 하려는 것입니다. 여러분
은 그리스도를 본 일이 없지만 그분을 사랑합니다. 여러분은 지금 그분을
보지 못하면서도 그분을 믿기에, 이루 말할 수 없는 영광스러운 기쁨 속에서
즐거워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믿음의 목적인 영혼의 구원을 얻을 것이기
때문입니다"(1베드 1,3-9).
그리스도교가 신비적이라고 하는 것은 그것이 곧 성사적이라는 것을 의미
한다. 성사는 '신비'로서, 그 안에서 하느님께서 활동하시고, 우리의 영혼이
그분과 함께 그분의 거룩한 사랑의 자극 아래 활동한다. 우리는 영혼 안에서
그리스도의 사랑이 영적으로 자유롭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표징이
성사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가시적이며 외적인 행위로 나타나는 성사는 하느님이 우리에게 은총을 주
시도록 '만드는' 무엇은 아니지만 우리에게 작용하여 은총을 받을 수 있게
한다. 그것은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은총을 무상으로 주신다는 표징이다.
그 표징은 우리에게는 필요하지만 그분께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것은 우리의 가슴과 영혼이 그분의 활동에 반응하게 만든다.
그분의 은총은 아무런 외적인 표징 없이도 우리에게 주어질 수 있으나 그럴
경우 우리들 대부분은 그 선물의 도움을 받지 못하게 될것이고, 효과적으로
반응하지 못하며, 또 마음을 다해 응답하지도 못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에
게는 이러한 성스러운 표징들이 우리에게 은총을 베풀어야 할 근거로 내세
울 수는 없다. 참으로 대비되지 않는가!
만약 하느님께서 당신의 형용할 수 없는 빛을 우리에게 전하시고 당신 생명
을 우리와 공유하고자 하신다면, 당신이 직접 이 전달과 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을 결정하실 것이다. 그분은 인간에게 당신의 말씀을 들려주시는
것부터 하신다. 인간이 하느님의 말씀을 알아듣고 받아들인다면, 그분의 말
씀에 순종하고 그 부르심에 응답한다면, 우리는 세례반(盤)으로 나아간 것이
고 우리를 씻어 주시는 보속의 강물에 다다른 것이다.
우리는 축성된 성체로부터 자양분을 얻으며 성체를 통해 주님의 몸을 참된
영적 양식으로 먹는다. 성체는 영원한 구원의 보증이며 하느님의 말씀이신
그리스도와 우리 사이의 영적 혼인을 보증한다. 예수님은 우리가 신앙뿐만
아니라 성사적 일치를 통해서도 '그분께 나오기를' 바라신다. 모든 성사들,
특히 거룩한 성체성사 안에서 이루어지는 그리스도와의 일치는 분명히 그
분 신비 안에서 하나됨을 뜻하고 상징할 뿐 아니라 그것이 상징하는 바를
실제로 실현시킨다.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사람은 내 안에 머무르고, 나도 그 사람 안에
머무른다. 살아 계신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셨고 내가 아버지로 말미암아
사는 것과 같이, 나를 먹는 사람도 나로 말미암아 살 것이다"(요한 6,56-57).
그리스도인으로서 할 수 있는 가장 거룩한 행위는 성찬 전례의 신비 안에서
그리스도를 받아 모시는 것으로, 그분의 죽음과 부활에 동참하게 되며, 영
과 진리 안에서 그분과 하나가 되는 것이다. 우리는 신앙의 성사들을 통해
그리스도의 생명에 참여하게 된다. 그리스도의 신비는 교회의 성사와 예배
를 통해 구현되며 충족된다. 그러나 그 예배에 참여하기 위해 우리는 먼저
세례를 통해 그리스도의 구성원이 되어야 한다.
세례를 통해 우리의 영혼은 죄를 씻고 이기적인 욕망으로부터 벗어나며
부패의 노예로부터 해방되어 살아 계신 하느님의 자녀로서 찬미를 드릴
수 있게 된다. 그리스도의 신비, 곧 하느님의 나라에 들어가기 위해 우리는
세례를 받을 필요가 있다.
"누구든지 물과 성령으로 태어나지 않으면, 하느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다"
(요한 3,5).
성사를 통하여 하느님께로 나아가는 신비의 길을 이야기하고자 한다면,
성사의 신비가 마술 같은 것이라는 인상을 주지 말아야 한다.
만약 성사가 그것을 받아들이는 사람의 마음가짐이나 응답 여부에 상관
없이 무조건 은총을 주는 것이라면 그것은 틀림없는 마술이다.
성사를 받는 사람들이 열렬한 헌신이라는 주관적인 감정을 느끼지 못한다
하더라도 성사는 그 성사가 표시하는 효과를 낸다
(ex opere operato.).
다시말해, 성사는 어떤 상황에서건 객관적으로 효력을 나타내지만,
성사가 표시하는 은총은 적절치 못한 사람에게는 전달되지 못한다.
성사는 사랑이 없는 곳에서는 아무런 열매를 맺지 못한다.
예비 신자가 물로 세례를 받게 되면 그는 내적으로 깨끗해지고 성령에 의
해 변하게 된다. 그러나 이 모든 것에는 선택과 헌신이 전제되어 있으며
의무를 받아들이고 그리스도교적 삶을 살겠다는 결단을 전제로 한다.
세례는 그리스도 안에서 새 생명을 얻고 자신을 영원히 그리스도께 바치
지 않는 이상 아무런 열매를 맺지 못한다. 그리고 이것은 죄를 거부하고
사랑의 삶에 헌신함을 의미한다. 성사적 삶은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가 얻
는 새 존재의 존엄성에 걸맞게 사는 것을 의미하며, 하느님 자녀로 살아
가는 것을 뜻한다.
"그분께서는 당신을 받아들이는 이들, 당신의 이름을 믿는 모든 이에게
하느님의 자녀가 되는권한을 주셨다. 이들은 혈통이나 육욕이나 남자의
욕망에서 난 것이 아니라 하느님에게서 난사람들이다"(요한 1,12-13).
"우리가 그분에게서 듣고 이제 여러분에게 전하는 말씀은 이것입니다.
곧 하느님은 빛이시며 그분께서는 어둠이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 만일
우리가 하느님과 친교를 나눈다고 말하면서 어둠 속에서 살아간다면,
우리는 거짓말을 하는 것이고 진리를 실천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분께서 빛 속에 계신 것처럼 우리도 빛 속에서 살아가면,
우리는 서로 친교를 나누게 되고,그분의 아드님이신 예수님의 피가
우리를 모든 죄에서 께끗하게 해 줍니다."
"나의 자녀 여러분, 내가 여러분에게 이 글을 쓰는 까닭은 여러분이
죄를 짓지 않게 하려는 것입니다. 그러나 누가 죄를 짓더라도 하느님
앞에서 우리를 변호해 주시는 분이 계십니다. 곧 의로우신 예수 그리
스도이십니다. 그분은 우리 죄를 위한 속죄 제물이십니다. 우리 죄만
이 아니라 온 세상의 죄를 위한 속죄 제물이십니다"
(1요한 1,5-7; 2,1-2).
"우리가 하느님의 계명을 지키면, 그것으로 우리가 그분을 알고 있음
을 알게 됩니다.'나는 그분을 안다.' 하면서 그분의 계명을 지키지 않
는 자는 거짓말쟁이고, 그에게는 진리가 없습니다. 그러나 누구든지
그분의 말씀을 지키면, 그 사람 안에서는 참으로 하느님 사랑이 완성
됩니다. 그것으로 우리가 그분 안에 있음을 알게 됩니다. 그분 안에
머무른다고 말하는 사람은 자기도 그리스께서 살아가신 것처럼 그렇
게 살아가야 합니다"(1요한 2,3-6).
「삶과 거룩함」에서
Thomas Merton 지음 / 남재희 신부 옮김 / 생활성서 펴냄
Thomas Mert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