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혈관, 심장질환 예방을 위해 생선, 콩류, 통곡류, 저지방 유제품, 채소-과일, 견과류 등이 도움이 된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시간을 다투는 응급질환 중 뇌졸중을 빼놓을 수 없다. 뇌의 혈관이 혈전 등에 의해 막히면 뇌경색, 혈관이 터져 피가 흐르면 뇌출혈이다. 우리나라 뇌졸중은 뇌경색이 70~80%를 차지하고 있다. 한쪽 몸의 마비, 말이 어눌해지는 등의 증상을 빨리 파악해 혈관 수술이 가능한 병원으로 직행해야 한다. 경각심 차원에서 뇌경색에 대해 다시 알아보자.
뇌혈관 막힌 사람 “이렇게 많았나”...늦어도 50대부터 혈관에 신경 써야
식습관의 변화 등이 겹쳐 뇌경색은 빠르게 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뇌경색으로 병원을 찾은 사람이 2022년에만 52만1011명이다. 2018년 48만4411명에서 매년 꾸준히 늘었다. 뇌경색 환자는 60대가 25.1%(13만751명)나 됐다. 이어 70대, 80대 환자 순이다. 뇌경색은 오랫동안 서서히 진행하는 특징이 있다. 늦어도 50대부터 내 혈관에 관심을 기울여야 생명을 위협하고 몸의 마비 등 장애가 남을 수 있는 뇌경색을 예방할 수 있다.
뇌혈관 망가뜨리는 출발점...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비만 등
뇌경색은 사고처럼 갑자기 생기지 않는다. 고혈압, 고지혈증(이상지질혈증), 당뇨병, 비만이 있는 사람이 식사-운동에 신경 쓰지 않으면 뇌혈관 이상으로 진행할 수 있다. 한국인은 미국-유럽에 비해 지방은 적게 먹지만 탄수화물 섭취 비율은 높다, 밥이 주식이기 때문이다.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의 탄수화물:단백질:지방 섭취비율은 60%:16%:24%로, 미국의 47%:16%:36%와는 차이가 있다. 또한 국물 위주의 식사로 하루 소금 섭취량이 약 10g(나트륨 3.9g)으로 세계보건기구(WHO)의 하루 권고량 5g보다 훨씬 많다.
혈관에 좋은 음식 vs 절제해야 할 음식
뇌혈관, 심장질환 예방을 위해 어떤 음식이 좋을까? 질병관리청은 생선, 콩류, 통곡류, 저지방 유제품, 채소-과일, 견과류 등을 권하고 있다. 반면에 기름기 많은 육류, 육가공품(소시지 햄 등), 크림이 많은 간식, 튀긴 음식, 단 음식 등은 절제해야 한다. 좋은 한 끼 식단의 예로 현미밥, 단호박배추 된장국, 저염된장 삼치구이, 느타리버섯볶음, 고추김치 등이다. 흰쌀밥 대신 통곡물인 현미를 섞어 식이섬유를 늘렸고, 단백질 섭취를 위해 육류 대신 생선인 삼치를 선택했다. 단호박, 배추, 고추, 생채소, 버섯 등 다양한 채소를 포함했다. 저염된장을 활용해 나트륨 섭취를 줄일 수 있다.
근력 운동은 주 2~3회가 적당...스트레칭 등 유연성 운동도 중요
활발한 몸 움직임, 운동은 뇌혈관, 심장질환 발생을 막아주는 1차 예방 효과와 이미 생긴 경우 재발을 막아주는 2차 예방 효과가 모두 있다. 근력 운동은 유산소 운동과 달리 사용한 근육이 쉬는 시간이 필요하다. 매일보다는 일주일에 2~3번이 적당하다. 스트레칭 등 유연성 운동도 중요하다. 자세의 안정성과 균형 능력을 올릴 수 있다. 관절 부위를 스트레칭 할 때 근육의 당김이 느껴질 정도로 10~30초 유지하고 2~3회 반복한다. 중년 이상은 운동 시 안전이 중요하다. 혈압, 혈관 상태를 확인하여 운동 강도를 조절하는 게 좋다.
건강수명(건강하게 장수)에 도움을 드리게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원문기사 보기 : https://kormedi.com/2700205/
'건강코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벽 운동 나섰다가...심장혈관 막히는 최악의 생활 습관은? (0) | 2025.02.23 |
---|---|
뇌졸중 친정 엄마 18년 간병, 중년 여성의 삶 무너졌다...혈관에 최악 습관은? (0) | 2025.02.21 |
운동만 한다고 근육 생기나?... 근력, 체력에는 ‘이 음식’이 최고! (0) | 2025.02.20 |
찌개, 앞접시로 꼭 덜어 먹었더니...위암에 어떤 변화가? (0) | 2025.02.19 |
"생각이 참 많아지네요" 나를 위한 하루의 보상 반주 한 잔 별거 아니라고 생각했지만 상태는 훨씬 더 심각했다│귀하신 몸│#EBS건강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