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2

방관자 효과 - 38명의 목격자

1964년 3월 13일, 미국 뉴욕의 사람이 많은 거리에서한 여자가 죽음에 이르는 사건이 일어났습니다.목격자가 38명이나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단 한 명도 수화기를들지 않았다는 사실은 당시 뉴욕을 큰 충격에 빠뜨렸습니다.이에 관심을 가진 두 심리학자가 목격자들의 기이한 행동을조사하기 시작했습니다. ’방관자 효과’라 이름 지어진 이 이론에 의하면주위에 사람이 많을수록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도와줄 확률이 낮아지고도와준다 하더라도 행동으로 옮기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합니다.‘이렇게 사람이 많은데 나 말고도 도와줄 사람이 있겠지.’ 하는심리인 것이지요.누군가를 돕는다는 것은 분명 ‘능력’이 필요합니다.신체적, 경제적, 지적 능력을 갖춘 사람이라면더욱 효과적인 도움을 줄 수 있겠지요.그러나 능력보다 중요한 것..

평균 올리기

가끔 인생에서 숨이 막힐 듯한 순간이찾아올 때가 있습니다.평범하게 사는 것이어느새 잘못된 일처럼 여겨지고,있는 그대로의 내가 왠지 매우 부족한 사람처럼느껴질 때가 있습니다.특히 결혼을 준비할 때면외모, 나이, 재산, 학력, 직업, 연봉뿐만 아니라부모님 노후 준비까지 따지는 것이 기준처럼여겨지는 게 현실이 되어 버렸습니다.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대부분의 사람은 그런 삶을 살고 있지 않습니다.그저 묵묵히 소박한 하루를 살아가고있을 뿐입니다.그럼에도 사람들은 자꾸만평균을 위로 끌어올리고자 합니다.마치 그것이 모두의 기준인 것처럼 말입니다.그러다 보면 남에게 어떻게 보일지가가장 중요한 현실이 되고,자신을 바라보는 눈높이도 점점 더높아만 지게 됩니다.평균은 절대적인 숫자나 기준이 아닙니다.억지로 기준을 높이려 애..

東西古今 2025.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