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 그 뒤안길

풍양조씨와 천주교

뚜르(Tours) 2006. 11. 21. 13:16
조병현[趙秉鉉]
 

1791(정조 15)~1849(철종 즉위).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경길(景吉), 호는 성재(成齋)·우당(羽堂). 아버지는 이조판서 득영(得永)이다.
1822년(순조 22) 식년문과에 급제, 지평·교리를 거쳐 1827년 암행어사로 파견되었다.
그뒤 조만영(趙萬永)·조인영(趙寅永)·조병구(趙秉龜) 등과 함께 풍양조씨의 중심인물로 활동했다.
대사성, 세자시강원 겸 보덕, 경상도관찰사, 병조판서, 대사헌 등을 거쳐 1839년 형조판서가 되었다.
같은 해 기해사옥이 일어나자 당시 우의정 이지연(李止淵)이 개인적으로 천주교를 적대시하고,
풍양조씨 세도를 등에 업고 사학징치(邪學懲治)를 주장했을 때 가능한 한 그들의 목숨을 구하고자
배교(背敎)를 권하는 것에 그치게 하려 했으며, 천주교도의 처형이 계속되자 무죄한 교도들을 학살한
것에 가책을 느껴 형조판서직에서 사임했다.
1841년 호조판서로 있으면서 조선 후기의 청나라·일본과의 외교문서를 집대성한 〈동문휘고 同文彙考>의 교정당상(校正堂上)을 겸했고, 이조판서를 거쳐 1844년 판의금부사가 되었다. 그해 좌참찬이 되었으나
과거(科擧) 부정사건에 연루되어 평안도관찰사로 나갔다.
1847년 광주부유수(廣州府留守)로 있다가 부정을 행하고 조정을 문란하게 했다는 안동김씨파의
대사헌 이목연(李穆淵) 등의 탄핵으로 거제도에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다.
이듬해 풀려났으나 1849년 철종이 즉위하면서 대왕대비 김씨가 수렴청정하게 되자 먼저 일로 다시
탄핵을 받아 전라남도 지도(智島)에 위리안치된 후 사사(賜死)되었다. 저서로 〈성재집〉이 있다.
 
 
성재집[成齋集]
 

조선 후기의 문신 조병현(趙秉鉉:1791~1849)의 시문집.

15권 10책. 필사본. 출간을 위해 정서해둔 원고가 유일하게 전한다. 권1~8은 모두 시로 1,200여 수에
달한다. 권9는 소차(疏箚) 59편, 권10은 강설(講說)·주(奏)·의(議)·계(啓) 등 약 40편, 권11은
제문(祭文)·반교문(頒敎文)·교명문(敎命文) 등, 권12는 가장(家狀), 권13은 서(書), 권14는 제문·
상량문·율부(律賦)·서(序)·기(記)·발(跋) 등, 권15는 잡저와 책제(策題) 등을 싣고 있다. 그밖에 9·10책은
별책으로 금강산 기행일기인 〈금강관서 金剛觀敍〉와 연보를 실었다. 저자는 풍양조씨 집권기에
6조판서를 모두 역임한 인물로서 이 문집에는 〈전조선통용수의 戰漕船通用收議〉·
〈전세대동목분등 田稅大同木分等〉·〈영남전세대전소 嶺南田稅代錢疏〉·
〈군보미변통수의 軍保米變通收議〉 등 국정 전반에 걸친 소차와 논의가 많아 당시 정부 안에서
논의되던 현안들과 내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