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익태 (1906-1965)
한국 환상곡 (Symphonic Fantasia Korea)은
우리 민족의 영광과 수난을 함께 묘사한 대서사시로 크게 네부분으로
나뉘어 진다. 첫번째는 한국의 전통음악을 토대로 한 서정적인 부분
으로, 서두에 천지를 진동하는 듯한 전 관현악의 울림으로 장엄한 고
조선의 개국을 알리고, 이어서 아름다운 조국 강산을 묘사하는 서정
적인 멜로디가 흐르고 거기에 우리의 민요가락이 여러가지 악기소리
로 나타나 평화를 사랑하는 순박한 한민족의 심성을 묘사한다. 때때
로 타령조의 멜로디가 섞이면서 농민들의 춤사위를 표현하기도 한다.
두번째는 일제의 압제하에서 신음하는 조국의 암울한 모습을 묘사한
부분으로, 이토록 평화롭던 고요한 아침의 나라 한국을 이 강산을 침
노한 일제에게 짓밟혀, 곡상은 무겁고 침통하게 흐르고 만다. 평화롭
던 민족의 가락은 끊어지고 일제에 항거하는 투쟁은 계속되나 수많
은 애국 지사들의 죽음으로 진혼의 슬픔이 계속된다.세번째는 드디
어 광복의 기쁨을 맞는 애국가의 합창부분으로, 이 부분에서 안익태
선생은 자신이 작곡한 애국가를 1절부터 4절까지합창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애국가가 조를 달리하며 소리 높이 울려 퍼질때 그감격은 말
할 수 없는 감격으로 우리의 마음을 사로잡다.마지막으로 네번째는
6.25 동란으로 인한 처절한 동족간의 싸움을 묘사한 부분으로 한반도
는 6.25 동란으로 인한 전화에 휩싸이게 되고 선율은 또다시 슬픔으
로 바뀐다. 전통 아악의 정취가 울려 퍼진 뒤에 드디어 "무궁화 삼천리
나의 사랑아, 영광의 태극기 길이 빛나리. 금수강산 화려한 나의 사랑아"
하고 외치면서 만세 소리와 함께 한국환상곡은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한국환상곡은 안익태 선생이 미국에서 공부하면서착상하기 시작했고
필라델피아 음악학교를 졸업할 때(1932년) 1부가 완성되었지만 연주되
지 못했고, 독일로 건너가(1936년) 애국가를 작곡한 후 후반부에 애국가
를 합창으로 삽입하여 에이레의 더블린에서 비로소 초연(1938년) 되었
다.한국환상곡에는 선생의 스승인 리하르트 쉬트라우스의 조언이 많이
포함되어있고, 해방까지는 합창부분까지만 연주되어 오다가 6.25 동란
이후 제4부(전쟁부분)를 추가시켜 현재의 곡으로 완성시킨 것이다.
1938년 "더블린"에서 초연한 이래 선생은 1939년 로마교향악단 연주에
서 역시 한국환상곡을 공연했고 같은해에 베오그나드 라디오 교향악단,
불가리아 필하모니에서도 연주했는가 하면 1940년에는 부다페스트
필하모니, 1941년에는 쥬리히와 하노버, 1942년에는 베를린 필하모니
와 바르셀로나, 마드리드 필하모니, 1943년에는 다시 베를린 필하모니
와 마드리드 심포니, 다시 1944년에는 로마와 파리등에서 총 15회에
걸쳐 한국환상곡을 무대에 올린바 있다.선생은 해방된 조국에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란 세계적인 음악가들을 초빙, 음악을 활성화 시키고
바람직한 오케스트라 운동을 통해 음악의 생활화를 국민속에 심으려
고 했다.그런데 무엇보다도 안타까운 일은 세계적인 지휘자로서 활약
하던 안익태 선생이 조국의 오케스트라를 위해 일하지 못하고 가신
점이다. 청중의 입장에서 본다면 안선생의 멋진 지휘를 좀 더 분명히
느끼고 싶은 마음 간절했을 것이다.
그는 비록 조국을 떠나있었어도 자신이 지휘봉을 들 때마다 한국환상곡을
연주, 이 지구 상에 분명히 한국이 있음을 밝혔고 어느곳에서나 우리의 말
로 애국가를 소리 높여 외치도록 하였다.그가 이탈리아를 방문 당시 독재
자 무솔리니 치하에서 "한국환상곡"을 연주하려고 하자 일본 정부는 압력
을 가해 안선생을 추방하도록 했는가 하면, 그는 가는곳 마다 일제의 마수
는 끈질기게 따라 다니며 그를 못살게 굴었다.생전에 그가 그렇게도 염원
하던 조국에서의 생활을 끝내 이루지 못한 채이역의 하늘 아래서 눈을 감
긴 했어도 그의 예술적 유산들은 지금도 우리곁에 남아 우리와 함께 호흡
하고 있다.한 많은 조국의 역사와 우리 민족의 슬기로운 얼, 그리고 정의와
자유를 위해 끊임없이 투쟁하는 한민족의 힘찬 의지를 담아 작곡한 "한국
환상곡"은 조국에 바치는 사랑과 충성의 표증이며, 스페인에 살면서도 끝
까지 한국 국적을 고수한 선생의 투철한 한국 국민으로서의 신념은 우리
민족 모두에게 귀감이 아닐 수없다
애국가 연혁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는 대한제국 애국가로서 1902년 독일인
프란츠 에케르트 의해 작곡되었다. 당시 우리나라에 초빙되어 서양식 군악
대를 창설하고 각종악기와 음악이론등을 지도하는 등 우리나라 양악의 기
초를 세우는데 크게 공헌했던 에케르트는 고종 황제의 홍범14조에 따라 국
가를 작곡했으나 이 노래는 일반 대중이 부르기가 쉽지않아 널리 알려지지
못했다. 그런데 이후 일제 침략기에 현재의 애국가 가사가 일반국민들사
이에 널리 불려지기 시작했는데 일설에서는 윤치호님이 작사했다는 설이
있으나 정확한 작사자는 알수가없다. 이 노래는 특히 8.15 광복을 맞아 스
코틀랜드 민요인 "올드랭사인"의 곡에 맞추어 애창되었고 자유와 독립,
조국광복의 감격을 고취시켜주었다.현재의 애국가는 안익태님이 1936년
6월 독일의 베를린에서 유학중 완성한것인데 1948년 8월15일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동시에 대한민국 국가로 정식 명명되었다. 안익태님은 이 애
국가를 자신의 코리아환상곡의 후반부에 삽입하고 외국에서의 연주회
때에도 반드시 우리말로 부르게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