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 News
오늘의 묵상(성 요한 마리아 비안네 사제 기념일) 요한 마리아 비안네 성인은 1786년 프랑스 리옹의 근교에서 태어났다. 1815 년 사제품을 받은 그는 시골 마을 아르스의 본당 사제로 활동하면서 겸손하고 충실한 목자로 존경받았다. 그의 고행과 성덕이 널리 알려지면서 여러 곳에서 몰려드는 사람들에게 요한 마리아 비안네 신부는 정성을 다하여 영적 가르침 과 고해성사를 베풀었다. 평생을 아르스에서 겸손하고 가난한 삶을 산 성인에 게 해마다 2만여 명이 고해성사를 받고자 찾아왔다고 전해진다. 1859년 선종 한 요한 마리아 비안네 사제를 1925년 비오 11세 교황이 시성하고 '본당 사제 들의 수호성인'으로 선포하였다. 말씀의 초대 예레미야는 성전에 예배하러 온 유다의 모든 이에게 악한 길에서 돌아서지 않 으면 주님께서 재앙을 내리실 것이라고 전한다. 이 일로 예레미야는 사형당할 위기에 놓이는데, 아히캄의 도움으로 간신히 죽음을 모면한다(제1독서). 요 한 세례자는 헤로데의 비도덕적인 행위에 대해 충언을 하다가 그의 미움을 사 고 만다. 요한을 못마땅하게 여기던 헤로디아는 간계를 부려 결국 요한을 죽 게 만든다(복음). 제1독서 그 무렵 사제들과 예언자들이 대신들과 온 백성에게 말하였다. "여러분의 귀 로 들으신 것처럼 이 사람은 이 도성을 거슬러 예언하였으니 그를 사형에 처 해야 합니다." 이에 예레미야가 모든 대신들과 온 백성에게 말하였다. "주님께서 나를 보 내시어, 이 집과 도성에 대하여 여러분이 들으신 이것을 예언하게 하셨습니 다. 그러니 이제 여러분의 길과 행실을 고치고, 주 여러분의 하느님 말씀을 들 으십시오. 그러면 주님께서 여러분에게 내리겠다고 말씀하신 재앙을 거두실 것입니다. 이 내 몸이야 여러분 손에 있으니 여러분이 보기에 좋을 대로 바르게 나를 처리하십시오. 그러나 이것만은 분명히 알아 두십시오. 여러분이 나를 죽인다면, 여러분 자신과 이 도성과 그 주민들은 죄 없는 이의 피를 흘린 책임을 져야 할 것입 니다. 참으로 주님께서는 나를 여러분에게 보내시어, 여러분의 귀에 대고 이 모든 말씀을 전하게 하셨던 것입니다." 그러자 대신들과 온 백성이 사제들과 예언자들에게 말하였다. "이 사람은 사형당할 만한 죄목이 없습니다. 그는 우리에게 주 우리 하느님의 이름으로 말하였습니다." 예레미야는 사판의 아들 아히캄의 도움으로, 백성의 손에 넘겨져 죽임을 당하지는 않게 되었다.(예레 26,11-16.24) 복음 그때에 헤로데 영주가 예수님의 소문을 듣고 시종들에게, "그 사람은 세례자 요한이다. 그가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되살아난 것이다. 그러니 그에게서 그 런 기적의 힘이 일어나지." 하고 말하였다. 헤로데는 자기 동생 필리포스의 아내 헤로디아의 일로, 요한을 붙잡아 묶 어 감옥에 가둔 일이 있었다. 요한이 헤로데에게 "그 여자를 차지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하고 여러 차례 말하였기 때문이다. 헤로데는 요한을 죽이려고 하였으나 군중이 두려웠다. 그들이 요한을 예언 자로 여기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마침 헤로데가 생일을 맞이하자, 헤로디아의 딸이 손님들 앞에서 춤을 추어 그를 즐겁게 해 주었다. 그래서 헤로데는 그 소녀에게, 무엇이든 청하는 대로 주겠다고 맹세하며 약속하였다. 그러자 소녀는 자기 어머니가 부추기는 대로,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쟁반 에 담아 이리 가져다 주십시오." 하고 말하였다. 임금은 괴로웠지만, 맹세까지 하였고 또 손님들 앞이어서 그렇게 해 주라고 명령하고, 사람을 보내어 감옥에서 요한의 목을 베게 하였다. 그리고 그의 머 리를 쟁반에 담아다가 소녀에게 주게 하자, 소녀는 그것을 자기 어머니에게 가져갔다. 요한의 제자들은 가서 그의 주검을 거두어 장사 지내고, 예수님께 가서 알 렸다.(마태 14,1-12) 오늘의 묵상 인간은 다른 이들과 연대해서 살아가는 존재입니다. 따라서 우리의 생각과 행 동은 다른 이에게 영향을 끼칩니다. 한 사람의 죄는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 치게 마련입니다. 요한 세례자의 죽음은 한 사람의 죄가 다른 이에게 어떤 비 극을 불러일으키는지 잘 보여 줍니다. 선도 마찬가지입니다. 한 사람의 성인 이 많은 죄인을 회개시킬 수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아르스의 성자'라 불 리는 성 요한 마리아 비안네 신부입니다. 당시 프랑스의 아르스는 주민 200여 명의 작은 마을이었습니다. 주민들은 거의 모두 세례를 받은 신자였지만, 세상사에 매달리거나 세상의 쾌락을 찾아 살기에 바빴습니다. 비안네 신부는 그 작은 마을의 본당 신부로 임명받습니다. 그는 아르스로 가는 도중에 만난 한 목동에게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너는 내 게 아르스로 가는 길을 가르쳐 주었으니, 나는 네게 천국에 이르는 길을 보여 주겠다." 비안네 신부의 고행과 성덕이 널리 알려지면서 교회를 떠났던 신자들도 차 츰 교회를 찾아오게 되었습니다. 또한 그에게 전국에서 고해성사를 보러 오는 이들이 줄을 이었습니다. 하루에 17시간 동안이나 고해성사를 주어야 할 정도 였고, 고해성사를 받은 사람이 1년에 2만 명이나 되었다고 합니다. 오늘『 성 무일도』의 독서 기도에 나오듯이, 비안네 신부는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기 도와 사랑은 사람의 고귀한 과업이요 의무입니다. 여러분의 기도와 사랑은 이 지상에서 누리는 행복입니다." 그는 기도와 극기와 사랑의 삶을 실천함으로써 사람들에게 천국에 이르는 길을 보여 주었습니다. 비안네 성인의 말씀을 떠올 리면서 우리는 과연 어디에서 행복을 찾는지 자문해 보았으면 합니다. (매일미사에서 전재) ----------------------------------------------------------------- 오늘의 기도 "자비로우신 주 하느님, 저희가 마음을 다하여 주님을 공경하며,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모든 사람을 사랑하게 하소서. 성부와 성령과 함께 천주로서 영원히 살아계시며 다스리시는 성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아멘!" 2012. 8. 4. Martinus Ave Maria
Ave Ma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