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느 여름 오후, 한 스님이 졸음을 쫓고자, 암자 길을 오르고 있었습니다.
땀을 식히려고 바위에 걸터 앉는데, 숲속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려왔습니다.
뭔가 해서 숲속을 들여다 보는 순간, 눈길이 마주친 사내는 아랫마을에 살고 있는 착하고 예의바른 총각이었습니다.
그 청년이 아가씨를 뉘어놓고 주므르고 입술을 더듬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못 볼 것을 보고는 고개를 돌려 내려오는데, 등 뒤에서 허겁지겁 총각이 쫓아 와, 자초지종을 이야기 하는 것이었습니다.
산에 나무를 하러 왔다가 목 맨 처녀를 보고서는 인공호흡을 시키고 있던 중이라고.
입에 숨을 불어 넣고, 심장을 뛰게 하려던 몸짓이 사랑의 행위로 오인케 된 것입니다.
석용산 스님의 에세이, "여보게 저승갈 때 뭘 가지고 가지"에 나오는 이야기 입니다.
보이는 것은 사실일 뿐, 진실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사람들의 보고 들음이 얼마나 부정확하고, 생각과 판단이 얼마나 불확실한가를 생각하게 합니다.
사실에 가려져 있는 진실을 볼 줄 알아야겠습니다.
내 생각만 옳다고 고집하는 사람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입니다.
# 일본 아오모리 지방은, 우리나라 대구처럼 사과로 유명한 곳입니다.
어느 해였습니다.
열심히 가꿔서 사과가 가지마다 탐스럽게 열렸습니다.
수확을 눈앞에 둔 어느날 밤, 태풍이 불어닥쳐 그 금쪽같은 탐스러운 사과가 거의 다 떨어지고 말았습니다.
올해 농사는 망쳤다고 동네 사람들은 땅을 치고 한탄만 하고 있는데, 한 농부가 발상을 바꿔 기막힌 생각을 했습니다.
이 농부는 떨어진 사과보다, 매달려 있는 사과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엄청난 태풍에도 떨어지지 않고 매달려 있는 사과를 남들과는 달리 본 것입니다.
우리나라도 대학입시가 치열하지만, 당시 일본도 그야말로 입시지옥이었는가 봅니다.
이 농부는 입시와 사과를 연결해 보았습니다.
"이 사과를 먹으면 절대로 떨어지지 않는다"는 발상을 했던 것입니다.
그래서 떨어지지 않고 달려있는 사과들을 "合格"이라고 예쁘게 포장해서 아주 비싼 값으로 팔아, 대박(?)을 터뜨렸다고 합니다.
발상의 전환이 농부의 운명을 바꿔 놓았습니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남들과 똑같은 사물(사실)을 보지만,
남들과 다르게 보고(Think Different),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고(Think Another),
긍정적으로 본다(Think Positive)고 합니다.
자신의 환경이나 운명을 탓하기 보다는, 발상을 전환하고 자신의 창조능력을 발휘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 하겠습니다.
# 옛날 어느 청년이 부처님을 찾아나섰습니다.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그 말씀을 따라 살고 싶었습니다.
오늘은 이 절, 내일은 저 절, 부처님을 찾아 다녔지만 부처님을 만나지 못햇습니다.
그러기를 20년도 넘게 헤매고 다녔습니다.
그러자니, 의복은 남루하기 짝이 없고 몰골도 피골이 상접해서 차마 눈뜨고 불 수 없는 거지중에서도 상거지 꼴이 되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잠시 길가에서 쪼그려 앉아 쉬고 있는데, 지나가던 스님이 불쌍히 보였는지 동전 한닢을 던져주고 갔습니다.
그때, 언뜻 "저 스님이 내가 찾는 부처님일지도 몰라"하는 생각이 들어, 뒤쫓아 가 스님을 불렀습니다.
"스님께서 제가 찾고 있는 부처님이십니까?"하고 물었습니다.
의아해진 스님이, "왜 그러느냐?"고 물었습니다.
그래서, 이 청년은 자초지종을 이야기하면서, 아직도 부처님을 만나지 못했노라고 했습니다.
스님은 잠깐 생각하고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했습니다.
"젊은이, 젊은이가 찾고 있는 부처님은 지금 젊은이 집에 와 계시네.
빨리 가서 만나뵙게.
부처님은 바쁘신 분이라 곧 다른 곳으로 떠날지 몰라.
빨리 가 보게.
늦으면 못 볼지도 몰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청년은 그렇게도 오매불망 찾던 부처님이 자기 집에 와 계시다는 말을 듣고는, 정신없이 집을 향해 뛰어갔습니다.
먹지 못해 야윈 몸이라 쓰러지기도 하고, 돌뿌리에 걸려 넘어져 피가 흘러도, 뛰고 또 뛰기를 십수일.
드디어 자기가 살던 동구밖에 다달았습니다.
저 멀리 자기 집이 보이고, 어떤 여인이 서 있는 모습이 보였습니다.
마지막 안간힘을 다 해 가까이 가려고 애를 씁니다만, 지칠대로 지친 이 청년은 쓰러지고 말았습니다.
행색이 남루하고 피골이 상접해 차마 눈뜨고 볼 수 없는 몰골이었지만, 어머님은 금방 알아봤습니다.
자기 아들이라는 것을...
20년을 찾아 기다리던 아들이 돌아온 것입니다.
어머니는 더 없는 기쁨으로 아들을 부등켜 안고 온 몸을 떨었습니다.
아들도 그제서야 정신이 난 듯, 어머님을 알아보고 반가움에 울고 또 울었습니다.
집을 나설 때, 예뻤던 어머니는 어느덧 할머니가 되어 있었습니다.
어머니와 아들은 떨어질 줄 모르고 껴안고 부비며 반가워 울었습니다.
행복과 성공, 성취와 만족은 멀리 있지 않고 자기 가까이 있다는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 ’자기 분수를 알아야 한다’는 가르침인 것도 같습니다.
어머님이 부처님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박영하
'東西古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키는 것’에서 시작을 (0) | 2012.10.11 |
---|---|
세월은 공평한 자본금이다! (0) | 2012.10.10 |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아야 (0) | 2012.10.08 |
교권 침해 급증 (0) | 2012.10.06 |
노는 만큼 성공한다 (0) | 2012.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