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들의 영광

남종삼(南鍾三, 요한)

뚜르(Tours) 2006. 7. 12. 12:19
남종삼 ◆
한자 南鍾三

   남종삼(1817~1866). 본관(本貫)은 의령(宜寧). 자(字)는 증오(曾五). 호(號)는 연파(煙波). 중재(重齋)로 쓰기도 한다. 1984년 5월 한국 현지에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거행된 시성식(諡聖式) 때 시성된 103위 성인(聖人)의 한분. 축일은 9월 20일. 세례명은 요한. 통덕랑(通德郞) 이우(履佑)의 아들인 탄교(坦敎)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장성하여 큰댁인 상교(尙敎)의 아들로 입양(入養)하였다. 정약용(丁若鏞)의 학통을 이은 남인계의 농학자(農學者)이며 충주부사(忠州府使)를 지낸 부친 상교로부터 교육을 받으며 자랐고, 22세 때인 1838년(憲宗 4년)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서 홍문관 교리(弘文館 校理), 영해 현감(寧海縣監)을 지냈고 철종(哲宗) 때에 승지(承旨)가 되어 국왕을 친근에서 보필하였다. 고종(高宗) 초에는 그의 학덕(學德)으로 말미암아 왕족 자제들의 교육을 담당하였다. 그가 천주교 신앙을 가지게 된 것은 부친의 영향이었으나 그 자신도 서학서(西學書)를 읽어 마침내 천주교에 입교하였다.

   남종삼이 심신의 위험을 무릅쓰고 국가를 위하고 교회를 위하여 나서게 된 것은 러시아제국[露西亞帝國] 남침의 강화에 따라 야기된 조선왕국이 위기(危機)에 직면하게 됨으로써였다. 1860년(哲宗 11년) 영불군(英佛軍)의 청국(淸國) 공격으로 벌어졌던 애로우호 사건(Arow號事件)[제2차 阿片戰爭]의 전쟁 상태를 거중조정(居中調停)하여 북경조약(北京條約)을 성립시킨 대가로 연해주(沿海州)를 차지하게 된다. 이리하여 두만강(豆滿江)을 경계로 조선왕국에 접경(接境)하게 된 러시아제국이 1864년(高宗 1년) 이후 거듭 통상(通商)을 요구하며 월경(越境)해 오게 됨으로써 조선왕국 북변(北邊)에 국제적 긴장이 감돌게 되었다. 강대한 침략세력의 접근에 당시 국사(國事) 전권을 장악하고 있던 집권자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은 위기에 대처하기에 부심하게 된다. 이때에 국내에 잠입하여 전교활동을 펴고 있던 프랑스 성직자와 밀접한 관계를 가져 세계대세에 선견적 식견을 가졌던 천주교홍봉주(洪鳳周) · 김면호(金勉浩) 등이 이이제이(以夷制夷)의 방아책(防俄策)이라는 세계적 차원에서의 난국 타개의 건의를 대원군에게 올렸다. 이들의 건의가 별로 관심을 끌지 못하자 흥선대원군과 면식(面識)이 있고, 또 정계에도 안면이 있는 남종삼이 국태민안(國泰民安)의 결의와 신앙자유(信仰自由)의 구현을 위해 결연(決然)히 나서게 되었다. 흥선대원군에게 ‘이이제이의 방아책’ 실현의 방안을 설명하고 그것을 추진하기 위해 국내에서 전교활동하던 베르뇌(Berneux) · 다블뤼(Daveluy) 주교 등과 회동하여 협의토록 내락(內諾)을 얻었다. 남종삼의 의도는 이들 프랑스 주교의 힘으로 일본 나가사키(長崎)에 긴급 연락을 취하여 프랑스 · 영국 등과 조선왕국이 동맹을 맺어 러시아의 남침정책을 제어하는 동시에, 쇄국조선의 문호를 개방케 하여 세계사 대세에 발맞추어 신앙생활의 자유를 구현케 하려는 데 의도가 있었다. 이러한 세계적 경륜과 역사적 식견은 프랑스 성직자와의 잦은 접촉을 통하여 얻어졌던 그의 애국과 호교(護敎)의 신념이었다. 당시 공교롭게도 두 주교가 지방 사목여행(司牧旅行) 중이어서 주교와의 긴급 연락이 여의치 않아 그들이 서울에 귀착할 대까지는 수개월이라는 오랜 시일이 걸렸다(음 1865년 12월 9일과 13일에 상경). 이 동안에 흥선대원군의 초조와 교회에 대한 의혹도 문제려니와 러시아의 월경이 잠잠해져 북변의 긴장이 완화되었고 한편으로 반대원군 정객(政客=趙斗淳, 鄭元容, 金在根, 金炳學 등)들이 대원군의 천주교 접근책을 탐지하고 압력을 가하며 정치적 공세를 취하였다. 때마침 청국에서 천주교 박해가 강행되고 있다는 와전된 정보가 동지사(冬至使) 이흥교(李興敎)에 의해 전해졌다. 이에 정치생명의 불안을 느끼게 된 흥선대원군천주교 접근에서 표변하여 천주교 박해로 급전하게 되어 1866년 구정(舊正)을 전후하여 천주교 박해령을 내려 우리 역사상 최대규모의 박해병인박해(丙寅迫害)를 벌이게 되었다. 이보다 앞서 남종삼은 흥선대원군을 운현궁(雲峴宮)으로 찾아 주교의 입경(入京) 사실을 전하고 교회 측과의 회담을 요청하였으나 냉대(冷待) 받았고, 오히려 하향(下鄕)을 권유받았다. 사태의 급전을 예기할 수 있었던 남종삼은 전후책을 협의하기 위해서 천주 신앙을 위해 관직을 버리고 충청북도 제천(堤川) 땅 묘재[山尺]에 은거 중이던 부친 남상교(南尙敎, 아우구스티노)를 찾아 하향하였다. 국가와 교회를 위해 일하다가 죽음의 위기에 몰리게 된 남종삼은 부친의 격려를 받고 다시 상경하기에 앞서 묘재에서 10리 상거인 배론[舟論]의 신학교(神學校)를 찾아 성사(聖事)를 본 후 서울로 향해 떠났다. 이무렵 이미 대표적 교인이었고 통외(通外)의 공작을 추진한 장본인이라 하여 그에게 체포령이 내려져 있었다. 남종삼은 상경 도중 체포령의 하달을 알고 일시 시세(時勢)를 관망하기 위해서 피신하였었으나 결국 서울을 가까이 한 고양군(高陽郡) 축베더리 마을에서 체포되어 의금부(義禁府)로 연행되었다(음 정월 15일). 의금부에 국청(鞫廳)이 마련되고 다음 날부터 6차에 걸쳐 홍봉주, 이선이(李先伊), 최형(崔炯), 정의배(丁義培), 전장운(全長雲) 및 베르뇌 주교, 다블뤼 부주교 등과 함께 엄중 문초당하였다.

   남종삼은 국사(國事)가 어려울 때 일신상의 안전만을 위하여 가만히 있을 수 없어 앞에 나서서 국가의 안정과 새역사의 추진을 위해 러시아 남침의 위험을 경고하였고, 그리하여 방아책(防俄策)을 제시하고 개방(開放)을 추진하였음을 거듭 밝혔다. 또한 천주교사교(邪敎)가 아님을 역설하였다. 그러나 마침내 요언(妖言)으로 세인을 현혹(眩惑)케 하고, 초구지도(招寇之圖)를 꾸몄다 하여 모배잠종(謀背潛從)의 죄로 모반부도(謀叛不道)로 결안(結案)되었고, 다음 날인 정월 21일(양력 3월 7일) 서소문(西小門) 밖 네거리에서 홍봉주(洪鳳周, 토마스)와 같이 참수형(斬首刑)을 받고 순교(殉敎)하였다. 향년(享年) 50세. 남종삼의 처형 후 가족을 노륙지전(孥戮之典)에 처하라는 상소가 거듭되었으나 왕명으로 각하되었다. 그러나 결국 남종삼의 부친 남상교(南尙敎)는 공주진영(公州鎭營)으로, 장자인 남규희(南揆熙)는 전주진영(全州鎭營)으로 잡혀가 마침내 공주와 전주에서 순교하였고, 처 이소사(李召史)와 차남 남명희(南明熙)와 두 딸은 응좌죄인(應坐罪人)으로 경상도 창녕(昌寧)으로 유배되어 노비의 생활을 하게 되었다. 그 후 이소사도 창녕에서 순교하니 남종삼 가문은 3대에 걸쳐 그 자신을 포함하여 4명이 천주신앙에 순교하였다. 1968년 10월 6월 24위 병인순교자(丙寅殉敎者) 시복(諡福)으로 복자(福者)가 되었고, 1984년 5월 6일 103위 한국복자의 시성(諡聖)으로 성인(聖人)의 위에 올라 세계 가톨릭 교회의 공경의 대상이 되었다. 모반부도(謀叛不道)의 그의 죄명은 1885년에 취해진 조선 왕국의 복권조치(復權措置)로 탕척(蕩滌)되었다.

   [참고문헌] 李元淳, 한국 성인의 천주신앙, 분도출판사, 1984 / 日省錄 / 南鍾三鞫案 / 丙寅殉敎者證言錄 / Ch. Dallet, Histoire de l'Eglise de Coree, Paris 1874.

'성인들의 영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하상(丁夏祥, 바오로)  (0) 2006.07.12
김대건(金大建, 안드레아)  (0) 2006.07.12
성모승천 대축일  (0) 2006.06.14
성 스테파노  (0) 2006.06.14
십자가의 성 요한  (0) 2006.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