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51년, 종이에 수묵, 79.2 cm × 138.2 cm, 국보216호, 호암미술관 )
인왕제색도는 겸재가 76세 때 그림입니다.
인왕(仁王)은 서울에 있는 인왕산을 말하는 것이고 제색(霽色)이란 큰 비가
온 뒤 맑게 갠 모습을 뜻합니다. 한마디로 비 개인 인왕산 그림인데 인왕산
은 산 전체가 백색화강암으로 되어 있는 바위산이 특징입니다.
그런데 백색 화강암을 그리려면 흰색으로 표현해야 하는데 온통 진한 묵으로
그렸습니다. 이것이 이 작품의 가장 큰 특징입니다.
( 인왕산봉우리 )
이 그림을 보다보면 감상자의 시선이 어느덧 자연스럽게 우측 앞에 있는 조
그마한 집으로 모아집니다. 그림 감상에서 시선이 모아진다면 그건 절대 우
연이 아닙니다. 분명 화가가 치밀하게 계산된 것이며 그것이 바로 그림의 주
제이자 목적입니다. 그렇다면 저 집은 과연 누구의 집일까요?
정선이 조선후기 진경산수의 거장 이였다면 사천은 일만 삼천수가 넘는 시를
지은 대문장가이자 진경시인이었습니다.사천과 겸재는 10대부터 스승인 김창
흡 아래 동문수학한 벗이였습니다.각각 81세, 84세까지 장수하면서 한동네에
서 서로를 격려하고 의지하며 자란 형제 같은 사이였습니다.
( 시화상간도 [경교명승첩]中 1740~41, 비단에 담채, 29 x 26.4 cm 간송미술관 )
사천과 겸재가 마주앉아 시와 그림을 주고 받는 모습을 그린 그림. 서로 바로
보는 표정이 오랫동안 함께했던 지기끼리만 나눌 수 있는 표정입니다.
겸재 자신의 피붙이와 다름없는 사천이 병들어 죽어가고 있는 것입니다. 이때
겸재는 60여년을 형제처럼 지내온 사람을 떠나보내야 한다고 생각하니 얼마나
기가 막힌 심정 이였을까요.
바로 인왕제색도는 사천 이병연이 어두운 비구름이 개이듯 병이 나아 저 당당한
인왕산처럼 다시금 웅장하고 굳건한 모습으로 돌아오길 바라는 마음으로 그려낸
그림입니다. 겸재가 사천의 집 주위를 수목들이 호위하듯이 빙 둘러 그려낸 것만
보아도 사천이 병을 이겨내고 당당한 소나무처럼 일어나길 바라는 겸재의 마음을
잘 알 수 있습니다.[ 출처 : 미디어다음 ]
'東西古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전고대방(典故大方) 호당록(湖堂錄) (0) | 2007.04.10 |
---|---|
전고대방[典故大方] (0) | 2007.04.10 |
당당함과 꼿꼿함(3) (0) | 2006.11.22 |
당당함과 꼿꼿함(2) (0) | 2006.11.22 |
당당함과 꼿꼿함(1) (0) | 2006.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