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가톨릭과개신교 - 9. 가톨릭의 독신 제도 가톨릭과개신교 - 9. 가톨릭의 독신 제도 송양 그런데 가톨릭에서 주장하는 독신제는 성서 어긋나는 것 같아요. 성서 말씀을 보세요. '자식을 낳고 번성하여 온 땅에 퍼져서 땅을 정복하라.'(창세 1, 28) 이 구절을 어떻게 해석합니까? 박신부 예, 이것은 구약 시대에 인류 번성의 중요성을 강조한 나머지 .. 교리상식 2007.07.18
[스크랩] 가톨릭과개신교 - 10. 미사 성제와 성체 성사 가톨릭과개신교 - 10. 미사 성제와 성체 성사 송양 독신 제도에 대해서 말씀하실 때에 신부를 사제(司祭)라고 하셨고 또 성품 성사를 말씀하셨을 때에도 소위 신권(神權)이란 표현을 하셨는데 신부를 사제라고 하시는 그 이유가 무엇입니까? 박신부 송양, 혹시 가톨릭에서 바치는 '미사'를 보신 적이 있.. 교리상식 2007.07.18
[스크랩] 가톨릭과개신교 - 11. 가톨릭의 종교 의식 가톨릭과개신교 - 11. 가톨릭의 종교 의식 박신부 흔히들 말합니다. '가톨릭은 형식주의적인 종교이다.' 그러나 종교학적인 입장에서 말한다면, 무릇 참된 종교가 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요소가 있어야 합니다. 즉 교의(敎義), 종교, 윤리, 그리고 종교의식(儀式)입니다. 그러므로 어떤 종교에서든지 종.. 교리상식 2007.07.18
[스크랩] 가톨릭과개신교 - 11. 가톨릭의 종교 의식 가톨릭과개신교 - 11. 가톨릭의 종교 의식 박신부 흔히들 말합니다. '가톨릭은 형식주의적인 종교이다.' 그러나 종교학적인 입장에서 말한다면, 무릇 참된 종교가 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요소가 있어야 합니다. 즉 교의(敎義), 종교, 윤리, 그리고 종교의식(儀式)입니다. 그러므로 어떤 종교에서든지 종.. 교리상식 2007.07.18
[스크랩] 가톨릭과개신교 - 13. 소위 종교 개혁의 문제 가톨릭과개신교 - 13. 소위 종교 개혁의 문제 송양 그 동안 가톨릭의 교리를 대충 들었습니다. 그런데 종교 개혁을 하지 않으면 안 되었던 그 당시의 가톨릭 교회의 부패상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박신부 소위 종교 개혁에 관한 역사적인 사건을 여기서 일일이 다 말씀드릴 수는 없겠지요. 그.. 교리상식 2007.07.18
[스크랩] 가톨릭과개신교 - 14. 가톨릭 교회관 가톨릭과개신교 - 14. 가톨릭 교회관 박신부 이제 마지막으로 가톨릭적인 교회론을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리스도께서 하신 인류 구원의 사업은 2천 년 전 당시 사람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세상 마칠 때까지의 전 인류를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오늘 이 시대에 사는 우리는 그리스도.. 교리상식 2007.07.18
[스크랩] 가톨릭과개신교 - 15. 가톨릭 교회의 특징 가톨릭과개신교 - 15. 가톨릭 교회의 특징 박신부 송양! 이왕 가톨릭적인 교회론이 나왔으니 가톨릭 교회만이 가진 네 가지 특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첫째는 지일성(至一性)이라고 하는데 쉽게 말씀드린다면 하나인 교회란 뜻입니다. 전 세계 10억 가톨릭 신도들은 어떠한 파벌 의식이 없이 한 교황님 .. 교리상식 2007.07.18
사적계시헌장(1) / 조규만 바실리오 주교 다음은 평화신문에 2회 연재된(916-917호) 서서울지역 교구장 대리 조규만 주교의 계시헌장 지상 강좌의 내용이며 평화신문의 이연숙 기자가 정리한 글을 옮긴 글입니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 「계시헌장」은 제4회기 때인 1965년 11월 18일 반포되었습니다. 계시 헌장 해설 조규만 주교( 서서울지역 교구장.. 교리상식 2007.06.26
사적계시헌장(2) / 조규만 바실리오 주교 ▨사적 계시의 기준 하느님이 언제 어디서나 자기 자신을 계시한다는 측면에서 사적 계시와 영적 체험은 가능하다. 그러나 참된 사적 계시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사적 계시의 모든 내용들은 공적 계시에 부합해야 한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공적 계시야말로 진리이며 모든 계시의 기준.. 교리상식 2007.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