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西古今

주인 의식

뚜르(Tours) 2011. 6. 11. 19:49

독일 심리학자 링겔만은 집단 속 개인의 공헌도를 측정하기 위해 줄다리기 실험을 해봤습니다.
1대1 게임에서 1명이 내는 힘을 100으로 할 때 참가자 수가 늘면 개인이 어느 정도의 힘을 쏟는지를 측정했습니다.

2명이 참가하면 93으로,
3명이 할 때는 85로 줄었고
8명이 함께 할 때 49의 힘 즉 혼자 경기 할 때에 비해 절반밖에 힘을 내지 않았습니다.

참가하는 사람이 늘수록 1인 당 공헌도가 오히려 떨어지는 이런 집단적 심리현상을 “링겔만 효과”라고 합니다.
자신에게 모든 책임과 권한이 주어져 있는 1대1 게임과는 달리, “여러 명” 가운데 한 사람에 불과할 때는 사람은 전력 투구하지 않습니다.
익명성이라는 환경에서 개인은 숨는 것입니다.

미국에선 다른 실험이 있었습니다.
한 청년이 일광욕을 즐기던 휴가객 바로 옆에서 녹음기를 틀어 놓고 음악을 즐기다 바닷물에 뛰어듭니다.
다음엔 도둑 역할을 맡은 사람이 그 청년의 녹음기와 옷가지 등 소지품을 챙겨 슬그머니 달아납니다.
누가 봐도 도둑임에 분명했지만 20회 실험 중 4명만이 그 “도둑”을 잡으려고 시도했습니다.

 

똑 같은 상황인데 하나만 바꿔봤습니다.
청년이 바닷물에 뛰어들기 전 “제 물건 좀 봐주세요”라며 직접 부탁을 했습니다.
놀랍게도 거의 전부랄 수 있는 19명이 도둑을 잡으려고 위험을 무릅썼습니다.

 

미국 심리학자 로버트 치알디니 박사는 이것을 “일관성의 원리”로 해석했습니다.
지켜주겠다고 약속한 만큼 자신의 말에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애쓰게 된 결과라는 것입니다.

자신이 여러 명 중의 한명, 주목 받지 않는 방관자로 취급 받을 때,
사람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최선을 다하지 않게 됩니다.
반대로 혼자만의 책임일 경우나 자신이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한 경우에는 위험까지 감수합니다.

회사나 조직은 개인들이 각자 활동할 때보다 더 큰 힘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만, 대개의 경우 전체의 힘은 개인의 힘의 합보다 적어져 버립니다.

이런 현실에서 경영자의 과제는 개인들이 방관자가 되지 않도록, 
익명의 커튼 뒤에 남겨지는 일이 없도록 “주인의식”을 심어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개인은 남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자기의 최선을 다 해야 합니다.
그래야 리더로 클 수가 있습니다.

 
                        <박영하>

'東西古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과 인생  (0) 2011.06.14
경제와 정치  (0) 2011.06.13
방향이 속도보다 중요합니다   (0) 2011.06.09
거친 파도가 유능한 사공을 만듭니다  (0) 2011.06.04
혹시 내 말을 보지 못했습니까?  (0) 2011.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