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미국 벤처 투자가가 멕시코의 조그만 어촌 마을을 방문했습니다.
마을 해변엔 조그만 배 한 척과 어부 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투자가는 가까이 다가가 배 안에 노란색 지느러미를 가진 참치 몇 마리가 잡혀있는 것을 봤습니다.
미국인 투자가는 어부에게 아주 멋진 물고기라고 칭찬하면서, 이것들을 잡는데 얼마나 걸렸냐고 물었습니다.
멕시코 어부는,
“얼마 안 걸렸어. 그저 잠깐”
이라고 답했습니다.
그러자 미국인은,
“왜 더 오래 배를 타면서 더 많은 고기를 잡지 않는 거죠?”
라고 물었습니다.
“그야, 이 정도 물고기면 가족들이 당장 필요한 것을 구할 수 있으니까.”
어부는 이렇게 답했습니다.
미국인은 다시 물었습니다.
“물고기 잡지 않는 다른 시간엔 뭘 하세요?”
어부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늦잠자고, 고기 좀 잡고, 애들이랑 놀아주고,마누라랑 낮잠자고,
마을 어귀를 어슬렁어슬렁 걷다가 포도주 한잔 마시고, 그리고 친구들이랑 기타 치며 논다우.”
그러자 미국인은 어부에게 다음과 같은 제안을 했습니다.
“전 텍사스대학에서 MBA를 받은 사람입니다.
성공하는 법을 알려드리죠.
만일 아저씨가 고기를 잡는데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면 아저씨는 돈을 모아 더 큰 배를 살 수 있을 겁니다.
그 더 큰 배로 더 많은 고기를 잡아 배 몇 척을 더 살 수 있겠죠.
그리고 더 많아진 배로 더 많은 고기를 잡아서 이제는 고기잡이 선단을 살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잡은 고기를 중간 상인에게 파는 것이 아니라 식당이나 가공 업체에 직접 내다 파는 거죠.
아니면 자신이 직접 생선 납품 업체를 운영할 수도 있고요.
결국엔 아저씨가 생선의 공급, 가공, 납품까지 모든 것을 독점 운영하는 겁니다.
이렇게 사업이 커지면 물론 아저씨는 이 조그만 마을을 벗어나 멕시코 시티 같은 도시로,
거기서 더 사업이 커지면 미국 LA로, 그리고 거기서 사업을 더 확장해 뉴욕까지 진출하는 겁니다.
생각해 보세요, 아저씨는 기업의 회장님이 되는 겁니다.”
어부는 물었습니다.
“그게 얼마나 걸리유?”
“한 15년에서 20년 걸리겠죠.”
라고 미국인이 답했습니다.
어부는 다음과 같이 물었습니다
“그런 다음엔?”
미국인은 크게 웃으며 답해 주었습니다.
“바로 그 다음이 아저씨 인생에 있어 최고의 날이 되는 겁니다.
아저씨는 아저씨 기업의 주식을 상장하고 주식을 사람들에게 팔아 엄청난 돈을 벌어 들이는 겁니다.
말 그대로 백만장자가 되는 거죠.”
“백만장자? 그리고, 그 다음엔?”
멕시코 어부가 다시 물었습니다.
“그런 다음 은퇴하는 거죠.”
미국인의 마지막 대답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조그만 어촌으로 내려가 늦잠자고, 고기 좀 잡고, 애들이랑 놀아주고, 마누라랑 낮잠자고,
마을 어귀를 어슬렁어슬렁 걷다가 포도주 한잔 마시고, 그리고 친구들이랑 기타 치며 놀면 되죠."
이 이야기는 최근 인터넷에 많이 도는 작가미상의 글 입니다.
덧없는 욕심,끝없는 욕망을 향해 줄달음치는 현대인들에게 자신의 정체성을 일깨워 주는 이야기 입니다.
어느 바닷가 교화원의 老선각 선생님은 매일 새벽이면 교화원에 나가 청심주도 부르고,교화원 일도 하시고,
또 집에 들러 가족들도 돌보고 하시면서 하루 하루를 그야말로 수양에 정진하면서
행복한 노후생활을 즐기고 계시다는 이야기를 들은바 있습니다.
저는 이 이야기를 전해 들으면서
`나도 늙어서 은퇴하면 그 선생님 처럼 매일 새벽이면 교화원에 나가 청심주도 부르고,교화원 일도 하고,
또 집에 들러 가족들도 돌보고 하면서 하루 하루를 그야말로 수양에 정진하면서
행복한 노후생활을 즐기리라!’고 마음 먹었습니다.
성훈에 [회로하처거(回老何處去) 도중봉안식(道中奉安識)]이라 하셨습니다.
“늙어서 어디로 갈 것인가,도덕을 받드는 가운데 편안함이 있다”는 말씀으로 배워집니다.
도덕 수양 생활 이야말로 노후생활의 최고,최선의 행복길 임은 분명 합니다.
그러나 한편 반성해 보면
’그것이 지금 이 상태 에서는 불가능한 것인가?’자문해 봅니다.
매일 교화원에 나가 청심주도 부르고,교화원 일도 하고,또 집에 들러 가족들도 돌보고 하면서
거기에 더하여 직장일도 열심히 하면 안되는가?
행복은 멀리 있는것이 아니라 바로 지금 이 순간에 있다는 것을,
수양생활은 먼 노후에 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오늘 이 순간에 하는 것 이라는 것을,
십승지지(十勝之地)는 멀리 아득한 곳에 있는것이 아니라 바로
’한량없이 맑고 고요하고 바르고 둥근 마음’에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달아 봅니다.
노후를 핑계로 현재의 수양생활을 게을리 했던 점을 반성 합니다.
‘수양이 본업이고 직장일은 생업’이라는 어느 선생님의 말씀을 다시 새겨 봅니다.
“늙어서 어디로 간단 말인가,지금 도덕을 받드는 가운데 편안함이 있다”!
[回老何處去 道中奉安識]
고인수 / 삼성그룹 부사장
'이 한 편의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짓말은 안 한다. (0) | 2008.11.17 |
---|---|
행복 (0) | 2008.11.15 |
11월11일 빼빼로 데이 (0) | 2008.11.11 |
Love Me Tender (0) | 2008.11.03 |
돌에 새긴 우정 / 펌 (0) | 2008.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