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lody

[스크랩] 그레고리안 성가 모음 / Ecce Virgo Concipiet (Ave Maria)

뚜르(Tours) 2009. 6. 11. 12:49





그레고리오 성가 - Ave Maria



Ecce Virgo Concipiet
Choralschola der Capella Antiqua Munchen
뮌헨 카펠라 안티카 코랄스콜라,  
콘라트 루흘란트 지휘..
그리스도가 동정녀 마리아로부터 태어나리라는 예언

General Information
Title: Ecce virgo concipiet
Composer: William Byrd
Number of voices: 5vv  
Voicing: SATTB
Genre: Sacred, Motets 
Language: Latin
Instruments: none, a cappella
Published: Gradualia I (1605), vol.1 no.15
Description: 
Communion motet for Votive Mass of the Blessed Virgin 
during Advent and for the Annunciation
Original text and translations
Latin text
Ecce Virgo concipiet, et pariet filium: 
et vocabitur nomen ejus Emmanuel, alleluia. 
English translation
Behold, a virgin shall conceive, and bring forth a son: 
and His name shall be called Emmanuel. Alleluia.





그레고리오 성가- (-聖歌)


로마 가톨릭교회의 전통적인 단선율(單旋律) 전례성가. 오늘날 가장 중요한 전례음악으로 가톨릭교회에서 존중되는 성가이다. 그레고리오성가의 명칭은 로마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재위 590~604)에서 유래한다. 성가의 기원은 그리스도교 이전의 유대교성가에까지 거슬러 올라가게 되며, 거기에 동방 여러 교회의 성가, 유럽 각 지방의 성가 등이 혼합되어 그레고리오성가의 기초가 이루어졌다.


그것을 통일·집대성한 데에는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의 공헌이 컸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레고리오성가의 레퍼토리의 대부분이 8세기에서 14세기경 사이에 유럽에서 점차로 형성되어 간 것으로 생각되며, 동방적·지중해적인 요소보다는 서유럽적인 성격이 강하다. 중세 후기 이후 쇠퇴하여 그레고리오성가의 올바른 창법 전통도 상실되었으나, 19세기 말 다시 프랑스의 솔렘수도원을 중심으로 성가 부흥운동이 일어나 오늘날에는 솔렘식(式) 창법이 정통파로 규정되었다.


이 창법은 독자적인 리듬 이론을 가졌으며, 예술적으로 뛰어났지만 역사적 근거에 관한 의문이 많다. 선율은 8종의 교회선법(敎會旋法)에 의하며, 그것은 곡머리에 숫자로 나타내어 홀수의 것은 정격선법(正格旋法), 짝수의 것은 변격선법(變格旋法)이라고 한다. 이 선법에 의해 독자적인 선율미를 가졌다. 가사는 원칙적으로 라틴어를 사용하며, 로마 가톨릭교회의 전례와 불가분의 관계로 결부되어 있고 미사나 성무일과(聖務日課) 등의 성가가 다수 준비되어 있다.


또 용도에 따라 성가집도 다양한데, 그 중에 서도 미사를 위한 성가를 모은 《그라두알레》와 성무일과를 위한 《안티포날레》가 중요하다. 오늘날에는 이 두 가지와 그 밖의 주요한 성가 약 2,500곡을 발췌한 실용적인 《리베르 우주알리스》가 사용된다. 악보는 네우마(neuma)라는 독특한 기보법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도 4선보의 네우마악보를 기본으로 삼는다. 그러나 이 기본법 때문에 리듬 문제가 오늘날까지도 성가논쟁의 중심이 되고 있다.


그레고리오성가는 중세에 있어서의 대표적인 음악이었을 뿐만 아니라, 모든 시대의 폴리포니음악(다성부음악) 작품의 중핵이었으며, 정선율(定旋律)로서도 이용되어 왔다. 18~19세기의 음악작품, 예컨대 J.S.바흐의 《나단조 미사곡》, L.H.베를리오즈의 《환상교향곡》 등에서조차 그레고리오성가를 사용한 것이 적지 않다. 현재까지 남아 있는 성가에는 20세기부터 작곡된 것까지도 포함된다.


출처-피아노아카데미



Gregorian Chants
(Monks of the Benedictine Abbey el calcat with Boy's Choir from L'Alumnat)

 

Christus Natus Est[그리스도 탄생하심]

 

Christe Redemptor[그리스도 우리구세주]

Hodie Christus Natus Est Litany of Easter Eve[부활전야 호칭기도]
[오늘 그리스도 탄생하셨도다] Exultet[용약하라]
Gloria[대영광송] Surrexit Dominus Vere[부활하신 주님]
Salve Festa Dies[주님의 축제 경배] Sunday Processional[주일행열찬가]
Vidi Aquam[보라, 은총의 흐르는 물] Improvisation on 'Salve Festa Dies'[주의 축제 찬미]
Complines[저녁기도] La semence-Veni sancte Spiritus[오소서 성령이여]
Monastery Bells[수도원의 타종] L'esperance Gaudemus[희망의 찬미가]
L'abondance Cibavit[성체찬미]

AVE MARIA (VIENNA BOYS' CHOIR)

 

WOLFGANG AMADEUS MOZART(1756~1791)

 

ANTON BRUCKNER

Kyrie[자비송] [안톤 브루크너(1824 ~ 1896)]
Gloria[대영광송] Locus iste[자비]
Ave verum corpus[성체안에 계신 예수] Ave Maria[성모송]
dies irae[연송(진노의 날에)위령미사 sequesia] ENGELBERT HUMPERDINCK
Lacrimosa[연송(눈물의 날-주여 용서하소서)] [훔베르팅크(1854 ~ 1921)]
Agnus Dei[하느님의 어린양] Abendsegen[저녁기도]
Lux aeterna[그들에게 영원한 빛을 빛추소서] JOHANN RITTER VON HERBECK
FRANZ SCHUBERT[슈베르트(1797 ~ 1828)] [요한 헤르베크(1831~1877)]
Ave Maria[아베마리아] Pueri concinite
JOSEPH HAYDN[하이든(1732 ~ 1809)] GEORG GRIEDRICH HANDEL
Terzett: 'In holder Anmut stehn' [헨델(1685 ~ 1759)]
Terzett mit Chor: ' Der Herr ist gross in seiner Macht' And the glory of the Lord shall be revealed
And he shall purify
Hallelujah
Worthy is the Lamb that was slain - Amen

A LA DECOUVERTE DU GREGORIEN[그레고리오 성가의 탐색]

 

L'HISTOIRE DU REPERTOIRE GREGORIN

 

Gloria[대영광송(IX)]

[그레고리오 성가의 역사색인]
Sanctus[거룩하시도다(연미사곡)]
Le propre de la messe[미사고유문]
Agnus dei[하느님 어린양(연미사곡)]
Introit[입당송(성목요일)] L'offics divin[기도]
Dixit dominus et psaume 109[주일저녁기도]
Alleluia[알레루야(부활축일)]
Antienne[주일저녁기도]

Offertoire[봉헌송(성탄)]

Repons[사도신경]
Communion[영성체송(부활축일)] Lucis creator[창조주의 빛(주일저녁기도)]
L'ordinaire de la messe[미사통상문]
Hymne[부활제 1주미사]
Kyrie[자비송(III)]

CHANT GREGORIEN
 
IN NATIVITATE DOMINI
 
IN EPIPHANIA DOMINI[주의 공현축일]
missa in nocte[성탄밤 미사]

Haec est praeclara dies[입광송]

Dominus dixit[입당송]

Gloria lll[3번 미사곡]

Gloria IX[9번 미사곡]

Omnes de Saba[응답송]

Tecum principium[응답송]

Alleluia Vidimus stellam[복음환호송]

Alleluia. Dominus dixit[복음환호송]

Reges Tharsis[봉헌송]

Laetentur caell[봉헌송]

Vidimus stellam[영성체송]

In splendoribus[영성체송]

Omnes de Saba[응송]

missa in die[성탄낮 미사]

Tribus miraculis[세가지 기적(응답송)]

Quaem quaeritis, Puer natus est[입당송]

1. 별이 동방박사 인도, 2. 물을 포도주로 변화시킴

Viderunt omnes[응답송]

3. 그리스도의 세례

Alleluia. Dies sanctificatus[복음환호송]

Videntes stellam Magi

Tui sunt caeli[봉헌송]

[동박박사 별을 보고...(응답송)]

Viderunt omnes[영성체송]

 


PRIEURE DE GANAGOBIE[연중 제4주일 A해]

 

Ouverture[서곡]

 

Offertoire[Ps. 91,2 봉헌송]

Chant d'entree[입당송 시편104,3~4]

Flute et Orgue[플릇과 오르간의 연주]
Tierce[3도(중창)] Dialogue de la preface[감사송]
Kyrie XI[자비송 11번 미사곡] Sanctus XI[거룩하시도다(11번미사곡)]
Gloria XI[대영광송 11번 미사곡] Chant de la priere Conseratoire[성찬 축성식 노래]
Oraison[본기도] Notre Pere[주님의 기도]
Premiere lecture[제1독서] Agnus Dei XI[하느님의 어린양(11번 미사곡)]
Graduel lecture[응답송] Cithare(六鉉琴)[치타르(6현금)연주]
Deuxieme lecture[제2독서] Chant de la Communion
Alleluia[복음환호성 알렐루야] Renvoi[반복 credo]
Evangile Sortie[퇴장]
[복음(tonus evangelii 일정한 억양을 붙여 남창)]
Credo[사도신경]

FESTIVAL OF GREGORIAN CHANTS

 

Christus Natus Est[그리스도 탄생]

 

Improvisation on 'Salve Festa Dies'

Christe Redemptor[그리스도 우리 구세주]

[주님의 날 축가(즉흥반주)]
Hodie Christus Natus Est[오늘 그리스도 나셨도다] Monastery Bells[대수도원 종소리]
Litany of Easter Eve[부활 성야 호칭기도] La semence- Veni Sancte Spiritus
Gloria[자비송-대영광송(부활미사)] [임하소서 성령이여]
Exultet[부활찬송] Veni Creator[임하소서 창조주]
Salve Festa Dies[주님의 날 경축] L'abondance Cibavit[성체 대축일 입당송]
Surrexit Dominus Vere[주 참으로 부활하셨도다] Alleluia[알렐루야]
Vidi Aquam[부활시기 성수예절노래] Pange Lingua[성체성가]
Sunday Processional[주일 행열] Ave Verum[성체성가]
Complines[끝기도] L'esperance Gaudemus[성모승천 입당송]
Salve Regina[성모찬송]

출처 : 비밀의 정원
글쓴이 : 비밀의 정원 원글보기
메모 :

'My Melo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Gypsy Violin  (0) 2009.06.26
[스크랩] 묵상 찬양 31곡 연속듣기 / 내 마음에 한 노래있어 外  (0) 2009.06.11
무료한 오후에 함께 들어요  (0) 2009.06.10
수잔보일 준결승 진출  (0) 2009.05.30
그레고리안 성가  (0) 2009.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