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사람이 미워하더라도 반드시 살펴야 한다> 라는 뜻으로,
사람들이 호오(好惡)에 따라 부화뇌동하지 말며, 남의 말이나 소문만 믿고 결정을 내리지 말고 반드시 직접 확인해 실정을 파악한 뒤 행동하라는 말이다.
<논어 위령공편(論語 衛靈公篇)>에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여러 사람이 그를 미워하더라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하며, 또 여러 사람이 그를 좋아 하더라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한다.’
(자왈 중오지필찰지 중호지필찰언: 子日 衆惡之必察之, 衆好之必察焉)고 하였다.
또 <대학 제가장(大學 齊家章)>에 ‘좋아하면서도 그 사람의 악한 점을 알고. 미워하면서도 그 사람의 좋은 점을 아는 사람이 천하에 드물다.
(호이지기악 악이지기선자 천하선의: 好而知其惡 惡而知其善者 天下鮮矣)라고도 하였다.
이는 모두 공자(孔子)의 가르침에서 나온 말 들이다.
<논어 자로편(子路篇)>에 공자(孔子)의 제자 자공(子貢)이 ‘마을 사람들이 모두 어떤 사람을 좋아한다면 어떻습니까.’라고 물었다.
공자는 옳지 못한 일이라고 대답하였다.
자공이 다시 그렇다면 ‘마을 사람들이 모두 어떤 사람을 미워한다면 어떻습니까.’라고 물었다.
이 말에도 공자는 ‘그것도 옳지 못한 일이다.’ 라고 대답하였다.
이 구절에 대한 주자(朱子)는 주해(註解)를 붙여서 ‘한 마을 사람들 사이에는 같은 무리끼리 좋아하거나 미워하는 일도 생기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착한 사람이 좋아하는 사람을 나쁜 사람도 좋아 한다면, 그러한 사람은 틀림없이 구차하게 모두의 비위를 잘 맞추는 행동을 하였을 것이다.
그러므로 ’중오필찰(衆惡必察)‘은 여러 사람이 좋아하거나 미워한다고 하여 그대로 부화뇌동하지 말고, 직접 그 이유와 실상을 살펴보고 난 뒤에 자신의 판단과 신념에 따라 행동하여야 한다는 교훈이 담겨 있다.
고려시대 때의 문인 이달충(李達衷)이 쓴 애오잠(愛惡箴)은 이런 교훈을 서술한 문장으로서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전한다.
‘유비자’가 ‘무시옹’에게 묻기를 ‘사람들이 모여 인물평을 하는데 어떤 사람은 ’무시옹‘을 사람답다고 하고, 어떤 사람은 무시옹을 사람답지 않다고 했는데, 대체 무슨 연유 입니까?
또 당신은 어떤 사람에게는 사람으로 대우받고 어떤 사람에게는 사람대접을 받지 못합니까?
이 말에 무시옹은 사람들이 나를 사람답다고 해도 나는 기쁘지 않고, 사람들이 나를 사람답지 않다고 해도 나는 두렵지 않다.
왜냐하면 나를 사람답다고 하는 사람이 어떤 사람이며, 나를 사람답지 못하다고 하는 사람은 또 어떤 사람인지 모르기 때문이다.
나를 사람답다고 하는 사람과 사람답지 않다고 하는 사람이 사람다운 사람인지 또는 사람답지 못한 사람인지의 여부를 살펴야 할 것이다.
이는 오직 어진 사람만이 남을 사랑할 수 있고 남을 미워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사회의 구조와 기능이 다양해진 영향을 받고 사는 탓인지는 모르지만 자기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고 살아가고 있다.
그렇다고 남을 올바르게 살피지도 않는다.
여론과 소문에 휩쓸리며 호(好) 불호(不好)를 떠나 자기에게 호감을 주는 사람만 좋은 사람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습관화 된 것 같은 느낌을 갖게 한다.
우성영 / 시인
'東西古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옳은 주장 판별법 (0) | 2010.08.02 |
---|---|
인간관계의 기본, 역지사지 (易地思之) (0) | 2010.08.02 |
[태평로] 잊혀지고 싶어도 그럴 수 없는 인터넷 시대 (0) | 2010.07.26 |
토막낸 것을 꿰매는 것은 작은 바늘 (0) | 2010.07.22 |
내가 살아 보니까 / 장영희 (0) | 2010.07.20 |